어제는 조금 지지부진했고, 오늘은 F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함.
대학원 통계를 위해서 수업자료를 만들 생각인데 우선은 블로그에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 분석을 시작으로 글 작성을 시작하려고 한다.
난이도에 따른 배치는 나중에라도 가능하기 때문에,(회귀분석 귀찮) 우선은 하고 싶은 주제들부터 작성하려고 한다.
대학원 통계를 위해서 수업자료를 만들 생각인데 우선은 블로그에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 분석을 시작으로 글 작성을 시작하려고 한다.
난이도에 따른 배치는 나중에라도 가능하기 때문에,
Journal
1. M논문과 E논문 결과는 기다리는 중이다. 애증의 논문들이다.
2. S논문은 아마 다음주에 마무리가
될 것 같다. H의 노고가 크다.
3. MM논문은 곧 학회에서 발표될 것이고, J가 완성하면 바로 저널에 투고할 예정이다.
Conference
1. B, G 논문은 다음달 초에 S로부터 editing이 끝나면 학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2. M논문은 J와 상의를 좀 해봐야 할 것 같다.
3. C논문도 J가 완성하면 학회에 투고할 예정이다.
4. H논문: 금요일부터 시작 with L
5. F논문 : 모형이 거의 확정되었다. 우선 통계 결과를 도출하자.
Research
1. H교수 syllabus를 확인해봐야겠다. 혼자 공부하기는 힘들듯. 자료를 한국에서 요청하자.
2. L교수 data는 J와 회의를 하기로 했다.
3. H사 data는 측정도구 개발, mediation, multi-level 등
연구가 가능할 것 같다. 우선 측정도구 reference를
찾아야 한다. 살펴보니 학술적 의미가 있는지 의문스럽다.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측정도구 개발 논문. N대표에게 연락해봐야지.
4. 3L논문은 틈틈이 점검하자. 공부가 더 필요할 것 같다. 우선 H와 협업 가능성을 검토하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