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0일 월요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잠재성장모형
 잠재성장모형 (Latent Growth Model) ‘4년 동안 측정한 직장인의 소진(Burnout)의 변화와 같은 종단 데이터(Longitudinal data)를 활용하여,
1) 직장인의 초기 소진은 유의미한가?
2) 소진이 어떠한 형태로 유의미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가?
3) 초기 소진의 정도에서 개인차가 유의미한가?
4) 소진의 변화에서 개인차가 유의미한가?
5) 초기 소진의 정도와 소진의 증가율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등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분석이다.

잠재성장모형의 종류
잠재성장모형에는 linear, curve 등이 있다.

Data 코딩 방법
(그림 예시)

잠재성장모형 분석 절차
잠재성장모형 분석 방법을 AMOS, MPLUS, R, HLM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AMOS는 모형의 시각화가 편리하기 때문에
(각 프로그램 소개 및 장단점 Posting 필요)
(HLM, MultiSEM의 차이 posting 필요)

1) 비성장 모형(unconditional model)
2)

논문금요일부터 시작 wit

댓글 없음:

댓글 쓰기